교과목명 | 가족치료 | |||
---|---|---|---|---|
학위구분 | 학위 | 개설학과/계열 | 상담코칭심리 / 사회문화 | |
학점 | 3 | 이수구분 | 전공 | |
대상학년 | 2학년 | 개설년도/학기 | 2018/1 | |
대표교수명 | 김경희 | 연락처/이메일 | - / p30kkh@scau.ac.kr | |
수강기간 | 2018년 03월 02일 ~ 2018년 06월 10일 | |||
수강신청기간 | 2018년 01월 29일 ~ 2018년 02월 07일 | |||
수강정정기간 | 0001년 01월 01일 ~ 0001년 01월 01일 | |||
개별상담 | 구분 | 상담가능시간 | 상담채널 / 장소 | |
온라인 | 9시-5시 | 1:1상담 | ||
오프라인 | 9시-5시 | 학과사무실 유선 | ||
상담신청방법 | 1:1상담 | 앱알림서비스 수신여부 |
||
과목특성 | 이론형 | |||
수업개요 및 목표 |
가족치료는 가족의 역기능 및 가족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적용되는 치료의 한 분야이다. 가족치료는 인간의 심리를 통찰하게 하고 이해하게 하며 정신병리학은 외상으로인한 고착현상 때문에 기능적으로 문제를 가지게 된 사람을 상담으로 치료를 하는 학문이다. |
|||
교재 및 자료 | 주교새 : 김용태, 가족치료이론, 학지사 부교재 : 가족치료:개념과 방법-Michael P. Michoischr, 시그마프레스 참고사이트 : www.rebt.org/index.html |
|||
수업진행방법 | 교수자중심설명학습형, 학생들간토론학습형 | |||
학기 및 주간별 운영전략 |
수강생들이 가족치료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, 심화학습을 원하는 수강생들에게는 기초적인 학습지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. 중간고사대체과제를 제출함으로서 과목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, 기말고사를 통해 이해한 학습에 대해 점검하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. 토론방을 통해 수강생들간의 생각을 교류하며, 다른 이들의 생각에 관심을 갖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. | |||
출석관리 |
● 평균출석시간(총 학습시간/13주, 시험제외) 기준● 출석인정기준 등● 이메일 및 SMS를 통한 학습 독려● 중간/기말고사 온라인 시험에 대한 지침● 출석률이 75%미만인 경우 낙제 처리 |
|||
상호작용 | 가족치료에 대해 수강생들이 겪고 있을 수 있는 문제점,심리적 갈등요인 등을 유선상으로나마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상담해주도록한다. 유선상으로 하기 힘든 이야기들은 메일,Q&A,1:1게시판 등을 통해 이야기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준다. |
구분 | 이름(연락처) | Contat Channel | 비고 |
---|---|---|---|
조교 | 하영민(-) | e-mail, 쪽지, Q&A, 학과사무실방문상담 | |
튜터 | 하영민(-) | e-mail, 쪽지, Q&A, 1대1상담, 학과사무실방문상담 |
평가방법 | 상대평가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상대평가 비율 |
구분 | A+ | A | B+ | B | C+ | C | D+ | D |
성적분포(%) | 15 | 15 | 20 | 20 | 15 | 10 | 5 | 0 |
평가항목 | 중간고사 | 기말고사 | 퀴즈 | 과제 | 출석 | 기타 | 참여도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비율 |
25
|
25
|
0
|
0
|
20
|
10
|
20 |
참여도세부비율 | 강의Q&A | 토론방 | 자유게시판 | 자기소개 |
---|---|---|---|---|
비율 | 5 | 0 | 10 | 5 |
1회당 점수 | 40 | 0 | 40 | 100 |
주차 | 출석기간 | 강의제목 | 담당교수 | 수업형태 |
---|---|---|---|---|
1 | 2018-03-02 ~ 2018-04-01 | 1차시 : 오리엔테이션 | 김경희 | 온라인 |
2차시 : 가족의 개념 및 정의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3차시 : 가족의 특징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2 | 2018-03-02 ~ 2018-04-01 | 1차시 : 현대가족의 특성 | 김경희 | 온라인 |
2차시 : 가족치료(1) 배경 및 발달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3차시 : 가족치료(2) 의미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3 | 2018-03-09 ~ 2018-04-08 | 1차시 : 가족치료(3) 이론적 근거와 틀 | 김경희 | 온라인 |
2차시 : 가족치료(4) 주요개념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3차시 : 가족치료 이론의 개관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4 | 2018-03-16 ~ 2018-04-15 | 1차시 : 가족치료 이론의 주요인물 | 김경희 | 온라인 |
2차시 : 가족치료의 주요이론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3차시 : 가족치료 이론의 주요개념 및 원리(1)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5 | 2018-03-23 ~ 2018-04-22 | 1차시 : 가족치료 이론의 주요개념 및 원리(2) | 김경희 | 온라인 |
2차시 : 가족치료 이론의 주요개념 및 원리(3)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3차시 : 가족치료 이론의 주요개념 및 원리(4)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6 | 2018-03-30 ~ 2018-04-29 | 1차시 : 역기능의 성격장애 및 보웬의 가족치료(1) | 김경희 | 온라인 |
2차시 : 보웬의 가족치료(2)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3차시 : 보웬의 가족치료(3) 치료적 개입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7 | 2018-04-06 ~ 2018-05-06 | 1차시 : 보웬의 가족치료(4) 개입기법1 | 김경희 | 온라인 |
2차시 : 보웬의 가족치료(5) 개입기법2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3차시 :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(1) 개요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8 | 2018-04-13 ~ 2018-05-13 | 1차시 : 중간고사(과제로 대체) (과제시험) | 김경희 | 과제 |
9 | 2018-04-20 ~ 2018-05-20 | 1차시 :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(2) 주요개념 | 김경희 | 온라인 |
2차시 :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(3) 치료목표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3차시 :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(4) 치료기법1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10 | 2018-04-27 ~ 2018-05-27 | 1차시 :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(5) 치료기법2 | 김경희 | 온라인 |
2차시 :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(6) 치료기법3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3차시 :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(7) 환자의 역할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11 | 2018-05-04 ~ 2018-06-03 | 1차시 :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(8) 사례 | 김경희 | 온라인 |
2차시 : 대화 가족치료(1) 기원 및 주요인물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3차시 : 대화 가족치료(2) 역기능 대화의 형태들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12 | 2018-05-11 ~ 2018-06-10 | 1차시 : 대화 가족치료(3) 치료의 목표 및 방법 | 김경희 | 온라인 |
2차시 : 의사소통 가족치료(1) 개념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3차시 : 의사소통 가족치료(2) 사티어(Virginia Satir)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13 | 2018-05-18 ~ 2018-06-10 | 1차시 : 의사소통 가족치료(3) 치료목표 | 김경희 | 온라인 |
2차시 : 의사소통 가족치료(4) 치료과정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3차시 : 구조적 가족치료(1) 개념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14 | 2018-05-25 ~ 2018-06-10 | 1차시 : 구조적 가족치료(2) 역기능의 가족관계 | 김경희 | 온라인 |
2차시 : 구조적 가족치료(3) 치료의 목표 및 방법1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3차시 : 구조적 가족치료(4) 치료의 목표 및 방법2 | 김경희 | 온라인 | ||
15 | 2018-06-01 ~ 2018-06-10 | 1차시 : 기말고사(온라인 시험) | 김경희 | 온라인 |